Smart Brain, Smart Learning

HB두뇌학습클리닉이 세상의 희망을 그려갑니다.

미래창조의 힘, 성공된 미래를 향한 꿈

'HB두뇌학습 클리닉', 두뇌능력 개선을 통하여 최상의 학습능력을 발휘합니다

모든 스포츠의 기초체력훈련이 경기능력을 강화시켜주는 것처럼, 학습에 있어서 뇌의 자각 기능을 개선시켜주는 두뇌훈련은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가장 훌륭한 방법입니다.


Interactive Metronome 프로그램

을 통해 정보의 순차적 처리에 영향을 주는 프로세싱 능력을 직접적으로 개선함으로서 균형 감각과 조절 능력, 집중력과 인내력 등의 향상을 통해 자기 생각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스마트한 학생이 됩니다.

  • 감각운동통합훈련이란?
  • Interactive Metronome의 임상 적용
  • Interactive Metronome의 장점
  • Interactive Metronome 임상논문
  • Interactive Metronome PROGRAM
  • Interactive Metronome 전문가교육안내
감각운동통합훈련이란?
계획 기능, 리듬 기능, 감각 통합을 강화시키기 위한 훈련입니다. 이는 신경 심리학적 기능과 피질 조직화에 대한 이론과 일치하며 IM 훈련을 통해 집중력, 정신 정보 처리 기능, 인지 기능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저하와 관계되는 여러 임상적인 영역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정신 정보 처리 기능과 집중력이 요구되는 다른 영역에서도 이들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타이밍과 리듬 기능은 인간의 기본적 능력입니다. 이것은 여러 생물학적이고 학습 기능에 관여합니다. 이것은 명백히 운동 계획, 순차적 처리 기능, 협응력에 관여되고, 다소 명백하지는 않으나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 학업 성취와 같은 인지 기능에도 관여합니다. 다행히도 IM 훈련은 타이밍과 리듬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운동, 음악, 댄스, 신체적/직업적 치료를 통해서도 타이밍과 리듬 기능이 개선되나 IM 훈련은 이들보다 더 직접적이고 근본적이고, 신경학적 수준에서의 훈련입니다.
순차적인 운동(Sequential Movement)가 학습에 중요한가?
순차적인 손 동작과 언어를 관장하는 영역이 같은 mechanism 을 갖고 있습니다. 즉 일반적인 영역과 생성 능력(generativity) 이 언어 능력을 창조하는데 사용되었다. 즉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적절한 순서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부터 음소를 단어로 단어를 문장으로 구분하여 재조합 할 수 있게 되었다.
Interactive Metronome의 작용
인터액티브 메트로놈 (Interactive Metronome: IM)은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비트음에 훈련자가 정확하게 반응하도록 고안된 목적 지향적인 훈련 프로그램입니다. 훈련 참가자는 헤드폰을 통해서 들리는 가이드 사운드에 손과 발이 주어진 운동 계획대로 일치된 동작을 하도록 지시받게 됩니다. 즉 IM 글러브를 끼고 손을 마주치거나 발을 센서에 접촉시키는 등 13가지 반복적인 동작을 훈련 받는다. 특허 받은 청각 혹은 청각적이고 시각적인 가이드 시스템이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줍니다. 그리고 훈련자의 수행 정도와 컴퓨터에서 생성된 비트음 간의 시간적인 차이가 1,000분의 1초 단위로 계산됩니다. 이러한 계산된 점수의 차이는 두뇌와 신체간 즉 감각운동 시스템의 타이밍의 정확도를 반영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인간 두뇌의 효율성과 수향 능력은 두뇌의 한 영역에서 또 다른 영역으로 신경 네트워크의 신호를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달렸다. 최근 Dr. Neal Alpiner의 연구에 의하면 IM 기능성 MRI 연구에서 훈련이 청각-운동 프로세싱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IM이 신경축내에서 내적인 프로세싱 스피드를 증가시킴으로써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M 훈련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두뇌의 핵심 영역은 소뇌(Cerebellum),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대상회(Cingulate Gyrus), 그리고 기저핵(Basal Ganglia)인 것으로 보인다. IM은 운동 계획, 리듬, 감각 통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훈련입니다. 이러한 훈련의 결과 신경 네트웍은 자극을 받게 되고 반복해서 훈련을 함으로써 신경 가소성(Neuronal Plasticity)의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신경학적 변화는 장기간 저장되게 됩니다. (LongTerm Potentiation:LTP) 그리하여 결국 운동기능, 집중력, 정신기능 정보처리 속도가 증가하거나 기능이 향상됩니다.
감각운동통합과 관련된 두뇌 영역
전두엽 Frontal Lobe 두정엽 Parietal Lobe 대상회 Cingulate Motor Cortex 1차 운동 영역 Primary Motor Cortex 전운동 영역 Premotor Cortex 기저핵 Basal Ganglia
소뇌(cerebellum)의 기능
- 운동 조절 - 자세, 걸음 걸이 - 실행 기능 - 인지 통합처리 속도 - 생존과 관계 - 손을 사용하고 환경을 탐색, 조작. - 타이밍 & 순차적 처리 - 언어 기술 : Broca’s area와 연결 - 인지와 언어 기술에 관여 - 지각과 인지에 관여 - 대뇌 피질 Cerebral Cortex과 연결
소뇌(cerebellum)의 기능 저하시의 특징
- 걷기 / 협응 문제 - 생각이 느림 - 말이 느리다 - 충동성 - 학습 부진 - 글쓰기가 지저분하다 - 조직적인 작업이 잘 안됨. - 쌓아두는 경향 - 주변 소음에 예민 - 촉각에 예민 - 동작이 서툴고 / 사고의 위험 -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기가 어렵다. - 의사 소통이 잘 안 됨. - 빛에 예민 - 동작이 느리고 굼뜸. - 목표가 없고 미리 생각하지 않는다. - 책 읽을 때 긴장, 피로, 두통 - 거리 측정이 잘 안되고 운동을 못함. - 관련 질환 : 두뇌 외상 - 알코올 남용 - 자폐증 / 아스퍼거 증후군 - 주의력결핍의 한 형태 - 발달성 협응 장애 - 감각 운동 통합 장애
감각 운동 기능 이상과 관련된 특징
- 읽거나 들을 때에는 완벽하게 이해했는데, 나중에 이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려고 하면 잘 안됩니다. - 시험 공부를 할 때에는 시험을 잘 칠 자신이 있었는데 막상 시험 문제를 받아보니 바로 전날에 공부한 내용인데도 답이 전혀 생각나지 않는다 - 상점에서 물건을 사가지고 와서 조립 방법에 대한 설명서를 꼼꼼히 읽습니다. 그림과 대조해 가면서 설명서를 다시 읽습니다. 그렇게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막상 조립하려니까 무슨 소린지 전혀 말이 안됩니다. - 당신이 좋아하는 노래가 있는데 가사도 다 압니다. 그런데 노래하면 가사가 틀린다. - 당신의 집 뜰 안에 아름다운 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여러 해를 지내면서 즐겨보던 나무인데 막상 그려보면 전혀 다른 나무처럼 보인다. - 누가 전화번호를 불러주는 것을 받아 적는데 틀리게 적는다. - 음악에 따라 춤을 추는 것이 전혀 안됩니다 - 악기를 배우면 목숨을 살려줍니다고 해도 못 배울 것이라고 당신은 생각합니다. - 운동 시간이 되면 당신은 완전히 장애인처럼 되어 버리곤 했습니다. - 어떤 이에게 하고 싶은 말을 연습하고 나서 막상 본인 앞에서 말하려고 하면 모두 틀리게 나옵니다. - 지도를 보면서 어떤 곳을 찾아가다 보면 꼭 길을 잃는다. -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당신 뜻대로 진급이 되지 않는다. - 당신은 자기 자신이 머리가 좋은 것을 아는데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IM 훈련의 이론적 근거와 지지 연구
IM 훈련의 목표가 ‘타이밍’, 리듬(rhythmicity), 집중력, 운동 계획 등에 있어서 인지 기능의 향상이 두뇌의 신경가소성(neuronal plasticity: 훈련에 의해서 신경학적으로 훈련의 효과가 장기적으로 입력되는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가 최근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shaffer et al, 2001: Libkuman, Orani Steger, 2002)
IM의 주요 연구 분야
신경학적 가소성 (Neuronal Plasticity) 훈련에 의해서 훈련에 의한 신경학적 변화가 지속되는지에 대한 연구. 싱크로나이즈와 타이밍 (Synchronization and Timing) 여러 가지 동작을 동일한 시간에 일치시키는 능력을 말하며 이러한 운동 훈련을 통해서 신경학적 협응 능력과 인지 기능의 시간적인 일치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순차적 운동 기능은 특히 전두엽(frontal lobe)과 두정엽(parietal lobe)이 주로 포함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싱크로나이즈 기능에 대한 연구에서 대상회 운동 피질(cingulate motor cortex), 일차 감각 운동 피질(primary sensorimotor cortex), premotor cortex, supplementary motor cortex, 소뇌(cerebellum) 에서 관장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운동 계획 (Motor Planning) 운동계획에는 집중력(attention), 감각 통합(sensory integration)과 싱크로나이즈(synchronization), 타이밍(timing)의 협동이 필요로 되어진다. 예를 들어 물컵에 있는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물잔을 눈으로 지각해야 하고, 자기 고유 수용성 감각(proprioceptive sense) 기관에서 물컵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특수한 근육의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특수한 운동 동작이 필요로 되어진다. 점진적인 시간적으로 순차적인 운동 습득 능력이 있어야 정확한 수행력에 필요합니다. 각기 다른 감각을 통합하고 싱크로나이즈 (동시에 여러 동작을 일치시킴)하는 능력은 두뇌의 각기 다른 부위가 통합되어서 작용하는데 특히 premotor area, 전전두엽(prefrontal lobe)이 이러한 기능에 관여합니다. 이러한 감각 운동 일치 능력은 IM 훈련의 주요 목표가 됩니다. 운동 계획 (Motor Planning) 운동계획에는 집중력(attention), 감각 통합(sensory integration)과 싱크로나이즈(synchronization), 타이밍(timing)의 협동이 필요로 되어진다. 예를 들어 물컵에 있는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물잔을 눈으로 지각해야 하고, 자기 고유 수용성 감각(proprioceptive sense) 기관에서 물컵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특수한 근육의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특수한 운동 동작이 필요로 되어진다. 점진적인 시간적으로 순차적인 운동 습득 능력이 있어야 정확한 수행력에 필요합니다. 각기 다른 감각을 통합하고 싱크로나이즈 (동시에 여러 동작을 일치시킴)하는 능력은 두뇌의 각기 다른 부위가 통합되어서 작용하는데 특히 premotor area, 전전두엽(prefrontal lobe)이 이러한 기능에 관여합니다. 이러한 감각 운동 일치 능력은 IM 훈련의 주요 목표가 됩니다. 리듬 기능 (Rhythmicity) 각기 다른 감각 모드로부터의 정보를 각기 다른 두뇌 피질에서 처리 되어진다. 두뇌의 후반 두정엽과 전두엽이 감각 협응에 있어서 다양한 모드의 공간적 재현 기능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반복적인 운동과 리듬성의 청각적 자극을 동시에 일치(synchronization)시키기 위해서는 실수에 대한 교정(error correction) 기능이 요구되어진다. 감각 운동 일치 혹은 리듬 기능 템포 변화에 종속되는데 이러한 템포 변화는 두 가지 내적인 정보 처리 과정 즉 단계 교정(phase correction)과 기간 교정(period correction)이 관여합니다. 단계 교정(phase correction)은 각기 다른 감각 모드의 자극 사이의 내적인 동시성 실수(internal synchronization error) 혹은 비동시성(asynchronous)에 근거되어 진다. 이러한 단계 교정은 주로 자동적이며 내적인 타임 키퍼(time keeper)에 의해서 생성되는 자극 지각 사이에 시간적 간격에 적응하는 훈련을 통해서 교정됩니다. 집중기능 (Attention) 집중은 자극에 대한 선택적 초점 맞추기, 집중을 유지, 공간과 시간의 상호 작용 등이 관여됩니다. 집중은 통합적 인지 기능이며, 감각, 운동, 인지 기능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개인의 집중 능력에 주요한 부분이 각성 수준(arousal level)입니다. 그러나 각성 수준이 좋다고 반드시 집중력이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집중력은 다양한 차원의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선택적인 집중력은 환경에서 일어나는 자극에 집중하고 주변 자극을 무시하는 능력입니다. 반면, 분산된 집중력(Divided Attention)은 여러 자극을 동시에 자각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경계심(vigilance)는 특수한 자극에 집중을 하면서도 예측할 수 없는 자극을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집중력에 대한 이론을 해부학과 행동학적 모델이 있습니다. 해부학적 모델은 “top-down" 모델로써 자극 형태에 대한 집중력의 상호 작용이 아니라 집중과 공간적 측면에 관계되는 피질 영역이 포함됩니다. "Bottem-up" 모델은 이들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피질 영역에 의해 조절되는 자극 사이의 경계 개념이 포함됩니다. 집중력은 두 모델 사이의 상호작용으로써 정의됩니다.

There is an ever-expanding body of peer-reviewed literature that clearly demonstrates the link between mental timing and our cognitive processing and motor capabilities. The two studies listed in red font are especially helpful in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processing and the Interactive Metronome.

1.Agnew, J. A., Dorn, C., & Eden, G. F. (2004). Effect of intensive training on auditory processing and reading skills. Brain and Language, 88(1), 21-25. 2.AlonsoBua, B., Diaz, F., & Ferraces, M. J. (2006). The contribution of AER-Ps (MMN and LDN) to studying temporal vs. linguistic processing deficits i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59(2), 159-167. 3.Au, A., & Lovegrove, B. (2001). The role of visual and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in reading irregular and nonsense words.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30(9), 1127-1142. 4.Boets, B., Wouters, J., vanWieringen, A., & Ghesquiere, P. (2006). Auditory temporal information processing in preschool children at family risk for dyslexia: Relations with phonological abilities and developing literacy skills. Brain and Language, 97(1), 64-79. 5.Breier, J. I., Fletcher, J. M., Foorman, B. R., Klaas, P., &Gray, L. C. (2003).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in children with specific reading disability with and withou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6(1), 31- 42. 6.Cacace, A., McFarland, D., Ouimet, J., Schriber, E., &Marro, P. (2000). Temporal processing deficits in remediationresistant reading-impaired children. Audiology and Neurotology, 5(2), 83-97. 7.Cestnick, L., & Jerger, J. (2000).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and lexical/nonlexical reading in developmental dyslexic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11(9), 501-513. 8.Cohen-Mimran, R. (2006). Temporal processing deficits in Hebrew speaking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9(1), 127- 137. 9.Conlon, E., Sanders, M., & Zapart, S. (2004). Temporal processing in poor adult readers. Neuropsychologia, 42(2), 142-157. 10.David, D., Wade-Woolley, L., Kirby, J., & Smithrim, K. (2007). Rhythm and reading development in school-age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30(2), 169-183. 11.DeMartino, S., Espesser, R., Rey, V., & Habib, M. (2001). The ''temporal processing deficit'' hypothesis in dyslexia: New experimental evidence. Brain and Cognition, 46(1-2), 104-108. 12.Droit-Volet, S. & Rattat, A. (2007). A further analysis of time bisection behavior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reference memory: The similarity and the partition task. Acta Psychologica, 125, 240-256. 13.Eden, G., Stein, J., Wood, H., & Wood, F. (1995). Temporal and spatial processing in reading disabled and normal children. Cortex, 31(3), 451- 468. 14.Edwards, V., Giaschi, D., Dougherty, R., Edgell, D., Bjornson, B., Lyons, C., & Douglas, R. (2004). Psychophysical indexes of temporal processing abnorma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5(3). 15.Farmer, M. E., & Klein, R. M. (1995). The evidence for a temporal processing deficit linked to dyslexia: A review. Psychonomic Bulletin and Review, 2(4), 460-493. 16.Fink, M., Churan, J., & Wittmann, M. (2006). Temporal processing and context dependency of phoneme discrimination in patients with aphasia. Brain and Language, 98(1), 1- 11. 17.Fortin, C., Champagne, J., & Poirier, M. (2006. Temporal order in memory and interval timing: An interference analysis. Acta Psychologica (in press). 18.Gang, M., & Siegel, L. S. (2002). Sound-symbol learning in children with dyslexi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5(2), 137-157. 19.Goswami, U. (2003). How to Beat Dyslexia: The Broadbent Lecture 2003. The Psychologist, 16(9), 462-465. 20.Griffiths, Y. M., Hill, N. I., Bailey, P. J., & Snowling, M. J. (2003). Auditory temporal order discrimination and backward recognition masking in adults with dyslex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6(6), 1352-1366. 21.Hautus, M. J., Setchell, G. J., Waldie, K. E., & Kirk, I. J. (2003). Age-related improvements in auditory temporal resolution in reading-impaired children. Dyslexia, 9(1 ), 37-45. 22.Heath, S. M., & Hogben, J. H. (2004). Cost-effective prediction of reading difficul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751-765. 23.Heath, S. M., & Hogben, J. H. (2004).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asks measuring perception of rapid sequences in children with dyslexia.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7), 1275- 1287. 24.Heim, S., Keil, A., & Ihssen, N.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attention and literacy skills in classroom children. Zeitschrift Fur Psychologie, 214(4), 196- 206. 25. Helmbold, N., Troche, S. & Rammsayer, T. (2007). Processing of temporal and nontemporal information as predictors of psychometric intelligence: A structural-equation-modeling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75 (5), 985-1006. 26.Hill, P. R., Hogben, J. H., & Bishop, D. M. V. (2005). Auditory frequency discrimina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8(5), 1136-1146. 27.Hood, M., & Conlon, E. (2004). Visual and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and early reading development. Dyslexia, 10(3), 234-252. 28.Kwak, E. (2007).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ournal of Music Therapy, XLIV (3), 2007,198-216. 29.Laasonen, M., Service, E., & Virsu, V. (2002). Crossmodal temporal order and processing acuity in developmentally dyslexic young adults. Brain and Language, 80(3), 340- 354. 30.Lewis, P. & Miall, C. (2006). Remembering the time: a continuous clock.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0(9) 31.Mauk, M. & Buonomano, D. (2004). The Neural Basis of Temporal Processing.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7, 307-340. 32.McAnally, K. I., Castles, A., & Stuart, G. W. (2000). Visual and auditory processing impairments in subtypes of developmental dyslexia: A discussion.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12(2), 145- 156. 33.McGee et al. (2004). Time Perception: Does it Distinguish ADHD and RD Children in a Clinical Sampl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 32, No. 5, October 2004, pp. 481?490. 34.Meck, W. Functional and Neural Mechanisms of Interval Timing (Methods and New Frontiers in Neuroscience). Chapman & Hall/CRC Press/Kluwer, 2003. 35.Meng, X. Z., Sai, X. G., Wang, C. X., Wang, J., Sha, S. Y., &Zhou, X. L. (2005). Auditory and speech processing and reading development in Chinese school children: Behavioural and ERP evidence. Dyslexia, 11(4), 292-310. 36.Muneaux, M., Ziegler, J., Truc, C., Thomson, J., &Goswami, U. (2004). Deficits in beat perception and dyslexia. Evidence from French. Neuroreport, 15(7), 1-5. 37.Posner, M. & Rothbart, M. (2007). Research on Attention Networks as a Model for the Integration of Psychological Science, 58, 1-23. 38.Rayner, K., Pollatsek, A., & Bilsky, A. B. (1995). Can a temporal processing deficit account for dyslexia? Psychonomic Bulletin and Review, 2(4), 501-507. 39.Rey, V., DeMartino, S., Espesser, R., & Habib, M. (2002). Temporal processing and phonological impairment in dyslexia: Effect of phoneme lengthening on order judgment of two consonants. Brain and Language, 80(3), 576-591. 40.40. Richards, T.L. & Berninger, V.W. 2007. Abnormal fMRI connectivity in children with dyslexia during a phoneme task: Before but not after treatment. Journal of Neurolinguistics, Available online 17 August 2007. September 2007 news report 41.Rommelse, N., Oosterlaan, J., Fuitelaar, J., Faraone, S., & Sergeant, J. (2007). Time Reproduc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Nonaffected Sibling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46, 5. 42.Santos, A., JolyPottuz, B., Moreno, S., Habib, M., & Besson, M. (2007). Behavioural and event- related potentials evidence for pitch discrimination deficits in dyslexic children: Improvement after intensive phonic intervention. Neuropsychologia, 45(5), 1080-1090. 43.SchulteKorne, G., Deimel, W., Bartling, J., & Remschmidt, H. (1999). The role of phonological awareness, speech perception, and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for dyslexia. European Child &Adolescent Psychiatry, 8, 28-34. 44.Strehlow, U., Haffner, J., Bischof, J., Gratzka, V., Parzer, P., & Resch, F. (2006). Does successful training of temporal processing of sound and phoneme stimuli improve reading and spelling?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5(1), 19-29. 45.Talcott, J. B., Hansen, P. C., Assoku, E. L., & Stein, J. F. (2000). Visual motion sensitivity in dyslexia: evidence for temporal and energy integration deficits. Neuropsychologia, 38(7), 935-943. 46.Tallal, P. (2004). Improving language and literacy is a matter of tim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5, 1-8. 47.Tallal, P. (2003).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Integrating research approach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6), 206-211. 48.Tallal, P., & Gaab. N. (2006). Dynamic auditory processing, musical experi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Trends in Neurosciences, 29(7), 382-390. 49.Taub, G., McGrew, K. & Keith, T. (2007). Improvements in interval time tracking and effects on reading achievement. Psychology in the Schools, 44 (8), 849-863. 50.Thaut, M., Kenyon, G., Hurt, C., McIntosh, G., & Hoemberg, V (2002). Kinematic optimization of spatiotemporal patterns in paretic arm training with stroke patients. Neuropsychologia, 40, 1073-1081. 51.Ulbrick, P., Churan, J., Fink, M., & Wittman, M. (2007). Temporal reproduction: Further evidence for two processes. Acta Psychologica, 125, 51-65. 52.Valdois, S., Bosse, M. L., & Tainturier, M. J. (2004). The cognitive deficits responsible for developmental dyslexia: Review of evidence for a selective visual attentional disorder. Dyslexia, 10(4), 339-363. 53.Van Ingelghem, M., van Wieringen, A., Wouters, J., Vandenbussche, E., Onghena, P., & Ghesquiere, P. Psychophysical evidence for a general temporal processing deficit in children with dyslexia. Neuroreport, 12(16), 3603-3607. 54.Vatakis, A. & Spence, C. (2007).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unity assumption’ on the temporal perception of realistic audiovisual stimuli. Acta Psychologica (in press). 55.Virsu, V., Lahti-Nuuttila, P., & Laasonen, M. (2003). Crossmodal temporal processing acuity impairment aggravates with age in developmental dyslexia. Neuroscience Letters, 336(3), 151-154. 56.Walker, M. M., Givens, G. D., Cranford, J. L., Holbert, D., & Walker, L. (2006). Auditory pattern recognition and brief tone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read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9(6), 442-455. 57.Wearden, J. (2004). Decision processes in models of timing. Acta Neurobiologiae Experimentalis, 64. 58.Wong, P., Skoel, E., Russo, N., Dees, T., & Kraus, N. (2007). Musical experience shapes human brainstem encoding of linguistic pitch patterns. Nature Neuroscience.
Interactive Metronome (IM) was developed in the early 1990s and is used to help children with learning and developmental disorders as well as adult neuro rehabilitation patients. IM is a neuro-motor assessment & treatment tool used in therapy to improve the neurological processes of motor planning and sequencing. Motor planning and sequencing are central to human activity. From the coordinated movements needed to walk, to the order of words in a sentence, planning and sequencing are critical to efficient human function. Interactive Metronome (IM) is the only therapy tool that improves motor planning and sequencing by using neuro-sensory and neuro-motor exercises developed to improve the brain's inherent ability to repair or remodel itself through a process called neuroplasticity.
Clinical Foundation
The human brain's efficiency and performance depend on the seamless transition of neuronetwork signals from one area of the brain to another. Findings in a recent study by Neal Alpiner, MD, "Functional MRI Study of the Effects of IM on Auditory-Motor Processing Networks", suggest that IM works by augmenting internal processing speed within the neuroaxis. The key regions of the brain that are affected appear to include the cerebellum, prefrontal cortex, cingulate gyrus and basal ganglia. These parts of the brain are responsible for human timing as well as other day to day functions such as: sustained attention, language formulation, motor coordination and balance. The IM program provides a structured, goal-oriented process that challenges the patient to synchronize a range of hand and foot exercises to a precise computer-generated reference tone heard through headphones. The patient attempts to match the rhythmic beat with repetitive motor actions. A patented auditory-visual guidance system provides immediate feedback measured in milliseconds, and a score is provided. Over the course of the treatment, patients learn to : - Focus and attend for longer periods of time - Increase physical endurance and stamina - Filter out internal and external distractions - Improve ability to monitor mental and physical actions as they are occurring - Progressively improve coordinated performance
HOW IT WORKS & WHO USES IT
Because IM works on the core brain functions of motor planning and sequencing, it is being used uccessfully by : - Occupational Therapists -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 Physical Therapists - Athletic Trainers - Licensed Rehabilitation Medical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Neurologists, Psychiatrists and Psychologists - Chiropractic Care Professionals - Developmental/Behavioral Optometrists
HB두뇌학습클리닉 교육 안내

감각통합훈련인 IM 전문가 과정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수 많은 성공적인 사례와 연구 보고서들이 뒷받침된 치료 방법으로, 미국의 Interactive Metronome사로부터 2007년 IM 전문가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독점 교육 라이센스 취득하였고, 현재까지 IM 전문가를 200여명 이상을 배출하였습니다. (현재 전문가 교육과정은 (주)하스피 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드브레인연구소는 체계화된 전문가 교육 과정을 통하여 관련 논문 연구와 접근 방법, 프로토콜의 선택 등 보다 선진화된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보다 나은 교육 과정을 통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더욱 이바지 하고, 새로운 도전에 대한 국내 전문가 선생님들의 성공을 확신합니다.

PROGRAM 교육월일 교육비 교육자격 교 재
두뇌평가
BRAIN
ASSESSMENT
INDP
신경학적지배인자조합평가

별도
문의

별도
문의
HBI
certification
교재
BLCA
학습과관련된두뇌기능평가
교재
두뇌훈련
전문가
DYSLEXIA
INSTRUCTOR
LiFT/TLP
청지각 훈련
TOMATIS
certification
교재, 매뉴얼,
설문지, 챠트
IM
감각통합훈련
INTERACTIVE
METRONOME certification
교재, 매뉴얼,
챠트
VISION
시지각 훈련
HBI
certification
교재, 매뉴얼,
HTS
IRLEN SCREENER
시지각
IRLEN Ins. certification 교재, 설문지,
검사kit
IRLEN DIAGNOSTICIAN
screener 자격자 한해 교육
IRLEN Ins. certification 교재, 실습,
kit lease 등
영어학습
ENGLISH
CLINIC
LEXIA HBI
certification
교재, 매뉴얼,
단어장

** 위드브레인연구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습 관련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들은 최소 15년 이상 임상 연구와 임상 프로토콜이 완성되어 그 효과가 충분히 입증되고 훈련의 효과가 예상되는 프로그램들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